뇌과학5 잠들고 깨어나는 하루: 내 몸속 생체 시계 이야기 - 2 시차 적응과 교대 근무, 생체 리듬을 지키려면?일상을 보내다가도, 가끔은 우리의 생체 시계가 큰 도전을 맞이할 때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해외 여행으로 시차가 바뀔 때와 야간 교대근무를 할 때예요.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살펴볼까요?✈️ 여행으로 시차가 달라졌을 때: 비행기를 타고 동쪽이나 서쪽으로 멀리 이동하면 낮과 밤 시간이 뒤바뀌게 됩니다.예를 들어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동하면 현지 시간은 한국과 완전히 반대라서, 우리 몸속 시계는 한밤중이라고 느끼는데 현지에서는 한낮이거나 그 반대 상황이 벌어지죠. 이렇게 시간대가 달라 생체 리듬이 어긋나는 현상을 시차증이라고 합니다.시차증을 극복하려면 가능한 한 빨리 현지의 시간대에 몸을 맞추는 것(시차적응)이 핵심입니다. 낮에는 최대한 밖에 나가 .. 2025. 3. 15. 잠들고 깨어나는 하루: 내 몸속 생체 시계 이야기 - 1 늦은 밤, 침대에 누워 있지만 좀처럼 잠이 오지 않습니다.휴대전화 화면을 끄고 눈을 감아보려 해도, 머릿속은 여전히 깨어있죠. "왜 잠이 안 올까?" 뒤척이다 보면 어느새 새벽 2시가 넘고, 내일 아침 일찍 울릴 알람이 걱정되기 시작합니다. 이런 경험, 혹시 익숙하지 않나요? 반대로 아침마다 알람을 몇 번이나 미루며 겨우 눈을 뜬 적도 있을 거예요. 밤에는 잠 못 이루고, 아침에는 일어나기 힘든 이 현상들 뒤에는 사실 우리 몸속에 숨겨진 하나의 비밀 장치가 있습니다. 바로 생체 리듬(서카디안 리듬)이라는 24시간짜리 내장 시계죠. 이 시계가 제 역할을 할 때 우리는 밤이 되면 자연스레 졸리고 아침이면 개운하게 깨어날 수 있지만, 리듬이 흐트러지면 잠과 깨어 있음의 밸런스가 무너져 버립니다.몸속 생체 시계.. 2025. 3. 14. 잠과 깨어남은 한 세트! 수면과 각성의 과학 이야기 여러분은 왜 밤이 되면 저절로 눈이 감기고, 아침이 되면 다시 개운해지는지 궁금했던 적 있으신가요? 사실 잠들기와 깨어나기는 서로 떨어진 별개가 아니라, 하나로 연결된 과정이에요. 우리 몸은 마치 낮과 밤에 맞춰 자동 스위치를 켜고 끄는 것처럼 수면과 각성(깨어 있음)을 조절하는데요. 오늘은 복잡한 과학 용어는 쏙 빼고, 이 잠의 비밀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보려고 해요. 생활 속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꿀팁들도 함께 알아볼 테니 끝까지 함께 해주세요. 🙂수면과 각성, 같이 도는 24시간 주기간단히 말해 낮에는 깨어 있고 밤에는 자는 것이 우리 몸의 기본 리듬이죠. 이 하루 24시간 주기 안에서 수면과 각성은 번갈아 나타나요. 낮에 햇볕을 받으며 활기차게 활동하다 보면 밤이 되어서 “이제 쉬자” 하는 신.. 2025. 3. 13. 피곤한 아침을 바꿀 과학: 후버만 랩이 전하는 수면과 각성의 비밀 “오늘 아침도 어김없이 피곤하다…”매일 아침 알람 소리에 눈을 뜨지만, 몸은 여전히 무겁고 머릿속은 멍한 경험, 모두 한 번쯤 겪어보셨을 겁니다. 후버만 랩 팟캐스트의 앤드류 후버만 교수는 “수면과 각성이 우리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 전반을 좌우한다”고 말하며, 수면의 질과 각성 상태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이를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설명합니다. 이 글에서는 후버만 교수의 설명을 바탕으로 수면과 각성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과 개선 방법을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1. 수면과 각성이 왜 중요한가?수면은 단순히 눈을 감고 쉬는 시간이 아닙니다. 우리가 깨어 있는 동안 쌓인 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뇌와 몸을 회복시켜 다음 날을 준비하는 회복의 시간입니다. 반대로 낮 동안의 각성 상태.. 2025. 3. 12. 전기 신호로 엮는 신경계 이야기 당신이 뜨거운 컵을 잡는 순간을 상상해 보세요. 손가락 끝의 뜨거운 감각이 팔을 타고 번쩍 올라가 뇌에 도착합니다. 뇌는 즉시 "뜨거워!"라는 신호를 보내 손을 떼게 만듭니다. 이처럼 신경계는 온몸 구석구석을 연결하며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거대한 네트워크입니다. 지금부터 이 놀라운 신경계의 세계를 이야기 형식으로 하나씩 풀어 보겠습니다.1. 신경계란 무엇인가?신경계는 단순히 뇌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뇌와 척수 그리고 온몸의 신경 연결망 전체를 말합니다. 이 거대한 통신망에서는 정보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피부와 장기에서 뇌로, 다시 뇌에서 근육으로 끊임없이 주고받는 루프 형태로 작동합니다. 예컨대 우리가 발가락을 문지방에 찧으면 통증 신호가 재빨리 뇌로 전달되고, 뇌는 즉각 발을 홱 빼도록.. 2025. 3. 12. 이전 1 다음